중국 문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 문학은 4천 년의 역사를 지닌, 시(詩)를 중심으로 소설, 산문, 희곡 등 다양한 형식을 포괄하는 방대한 문학이다. 시경, 초사, 부, 악부, 고체시, 근체시, 사, 곡 등 다양한 형식으로 발전해 왔으며, 당나라 시대에 시가, 송나라 시대에 사가, 원나라 시대에 곡이 번성했다. 명청 시대를 거치며 소설이 발달하여 사대기서 등 고전 소설이 등장했다. 현대에는 신문화운동 이후 루쉰의 아큐정전과 같은 작품이 발표되었으며, 온라인 문학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 문학은 한국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다양한 작품들이 한국어로 번역되어 소개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 문학 - 백화문
백화문은 20세기 초 신문화운동과 5·4 운동의 영향으로 구어체를 기반으로 형성되어 현대 중국어의 표준이 된 문체이며, 후스와 천두슈 등의 문학혁명론과 루쉰의 백화문 소설 등이 정착에 기여하여 언어 민주화와 사회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중국 문학 - 고체시
고체시는 2세기에 등장하여 당나라 시대에 부흥기를 맞이한 중국 전통 시의 한 형식으로, 5음절 또는 7음절의 구절로 구성되며 압운과 평측에서 자유로운 특징을 보인다. - 문학에 관한 - 단편 소설
단편 소설은 완결성을 지닌 짧은 산문 문학 양식으로, 소설처럼 서사 요소를 갖추고 있으나, 소설보다 짧고 한 번에 읽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19세기 매체 발달과 함께 발전했으며, 다양한 작가들의 실험으로 발전하여 현대에는 여러 매체로 각색되기도 한다. - 문학에 관한 - 소설
소설은 작가의 상상력을 바탕으로 하지만 당대 사회상을 반영하고 비판하는 역할도 수행하며, 유럽에서는 17세기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를 기점으로 근대 소설이 발전하였고, 최근에는 디지털 매체를 통해 새로운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 국가와 지역별 주제 - 중국인
중국인은 지리적 출생 및 거주, 민족 구성, 종족적 분류, 국적, 정치적 관점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정의가 달라지는 복합적인 개념이다. - 국가와 지역별 주제 -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는 13개 주와 3개의 연방 직할구로 이루어진 연방 입헌 군주국으로, 다민족, 다문화 사회이며 말레이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풍부한 천연자원을 바탕으로 경제 발전을 이루었으나, 민족 간 불평등과 정치적 불안정이 과제로 남아있다.
중국 문학 | |
---|---|
중국 문학 | |
개요 | |
중국 문학 | 중국 문화의 중요한 부분이며, 수천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
장르 | |
주요 장르 | 소설 시 드라마 단편 소설 중편 소설 |
기타 장르 | 희극 서사 아동 문학 비상식 서정 신작 모험 풍자 비극 희비극 |
매체 | |
공연 | 희곡 |
책 | 산문 시 |
역사 및 목록 | |
역사 | 문학사 |
논의 | |
비평 | 평론 |
이론 | 이론 |
잡지 | 잡지 |
2. 역사
4천 년의 중국 문학은 굽이치는 황허, 대륙적인 민족기질, 방대한 산하를 배경으로 한자의 특질을 살려 성장하였다. 시(詩)를 주류로, 소설·산문을 지류로, 서정과 자연영탄(自然詠嘆)을 본바탕으로 삼고, 서사와 사회 고발을 그 운영으로 삼아 왔다.[84]
"문학"이라는 단어는 공자가 제자들을 재능에 따라 네 가지 유형(덕행, 언어, 정사, 문학)으로 나눈 『논어』 선진편에 처음 등장한다. 북송의 형병은 이를 "문장박학"으로 주석하며, 고금의 문헌과 학문에 통달한 것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이처럼 문학은 학문 또는 그것을 기반으로 한 문화 전반을 넓게 가리키는 말이었으며, 현재와 같은 좁은 의미의 문학은 5세기, 남조 송의 문제가 세운 사학(유학, 현학, 사학, 문학)에서 찾아볼 수 있다.
고대부터 중국 문학은 정치를 포함하여 현실 생활을 주제로 한 것이 많았고, 정치에 종사하는 사람들에 의해 많은 문학 작품이 만들어졌다. 삼국 시대 위나라 조비의 "문장은 경국의 대업, 불후의 성사"라는 말처럼, 중국인들은 문학에 나라를 좌우할 만큼 강한 힘이 있다고 생각하여 문학은 정치와 밀접한 관계를 맺었다.
고대 중국에서는 운문과 산문 모두 문학성을 나타내는 말이라기보다는 글의 문체를 나타내는 말이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한문과 한시는 일본어와 일본 문학의 성립에 큰 영향을 주었다.
최초의 중국 문학사 관련 서적은 일본 저자들이 일본어로 출판한 두 권의 책이다.[71] 1897년 고조 단도(高島探堂)는 700페이지 분량의 『支那文学史』(시나 문학사, "중국 문학사")를 출판했고, 1898년 笹川臨風|사사카와 린푸일본어는 『支那文学史』(시나 문학사)라는 제목의 두 번째 책을 저술했다.[72]
영어로 쓰인 최초의 중국 문학사는 1901년 허버트 자일스(Herbert Giles)가 출판한 『A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중국 문학사)이다. 1904년에는 林传甲|임전갑중국어이 『중국문학사』(Zhongguo wenxue shi)를 출판했는데, 이는 중국어로 쓰인 최초의 중국 문학사이다.[71] 임전갑은 1903년에 번역된 사사카와 린푸의 책에서 영감을 받았다.[72]
2. 1. 선진(先秦)
시가(詩歌)의 대표작인 시경(詩經)은 주대(周代)에 씌어졌으며, 북방 지역의 소박한 정서를 담고 있다. 춘추 시대 이후 장강(양쯔강) 이남 지역에서 발생한 시가인 초사(楚辭)는 《시경》에 비해 자유로운 형식과 격정적인 정서가 특징이다. 대표적인 시인은 굴원이다.[84]산문으로는 서경(尙書), 춘추(春秋), 좌전(左傳) 등의 역사서와 논어(論語), 도덕경(道德經), 장자(莊子), 한비자(韓非子) 등의 철학서가 있다.
2. 2. 한대(漢代)
한대에는 초사 계통의 부가 유행했으며, 사마상여 등이 활약하였다. 무제 때에는 악부라는 관청을 통해 민간 가요가 채집되었는데, 이를 악부라 불렀다. 악부는 열구시와 함께 오언시의 출현에 영향을 주었다.[10]산문에서는 사마천이 사기를 저술하여 이후 역사서 편찬에 큰 영향을 미쳤다.
2. 3.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시대
오언시가 정형화되었으며, 도연명(365년 - 427년), 사령운 등의 시인이 자연을 노래했다. 한 줄에 일곱 음절(일곱 글자)로 맞춘 칠언체 시가 성립되었다. 유협은 문학 이론서인 《문심조룡》을 저술했다. 소설로는 《수신기》 등의 지괴소설이 발달했다.[4]이 시대에 민간 노래에서 오언시가 탄생했다. 한 줄에 다섯 음절(다섯 글자)로 맞춘 이 형식은 이후 수백 년에 걸쳐 문학의 중심이 되었다.[4]
삼국 시대에는 위의 부자 조조, 조비, 조식(192년 - 232년), 그 후의 원적(210년 - 263년) 등이 알려져 있다. 후한의 건안 연간(196년 - 220년)에 조조 등을 중심으로 한 살롱을 중심으로 번영한 새로운 문학을 건안 문학이라고 부른다. 건안칠자라고 불리는 사람들이 활약했다. 원적과 교강 등의 시풍은 위의 정시 연간(240년 - 249년)부터 정시체라고 불리고 있다.[4]
서진이 중국을 통일하자 육기, 좌사 등이 활약했고, 이어 남북조 시대에 들어서 도연명이 활약했다.[4]
이 시대는 남조송·제·양 3대에 걸쳐 활동한 심약과, 심약이 드나들던 남조 제의 경릉왕 소자량의 서저(西邸) 살롱이 문학의 중심이 된다. 심약과 함께 서저의 “팔우(八友)”에 꼽힌 소연도 당대 일류 문화인이었으며, 양나라의 창업주가 되기도 한다. 또한, 소연의 아들인 소명태자 소통이 편찬한 『문선』은 고대부터 육조에 이르는 주요 명문을 모은 앤솔로지(시가집)로서 후대는 물론 일본에서도 널리 수용되었다. 더불어, 다음 황태자 소강의 명으로 서릉이 편찬했다고 여겨지는 『옥대신영』이 있다. 남조 양의 유협은 문학 이론서인 『문심조룡』을 저술했다. 참고로 육조시대에 번성한 문체는 대구와 전고를 많이 사용하는 병문이다.[4]
소설 작품으로는 『수신기』와 「도화원기」에 대표되는 지괴소설이 발달했다.[4]
2. 4. 당대(唐代)
당나라는 중국 시가사에서 황금기로 여겨진다. 일반적으로 당나라 문학은 초당, 성당, 중당, 만당의 네 시기로 나누는 경우가 많다. 이를 사변(四變)이라 하며, 남송의 엄우(嚴羽)가 『창랑시화(滄浪詩話)』에서 처음 제기하였고, 명나라 이후 일반적인 구분으로 자리 잡았다.[73] 여기서는 이 네 구분에 따라 당나라 운문(韻文)사를 개괄한다.[74]- 초당(618-709): 육조 시대의 계승과 발전. 초당은 다시 태종 황제의 정관(貞觀) 시대와 측천무후(武則天) 시대로 나눌수 있다. 정관 시대를 대표하는 시인은 상관의(上官儀)라 할 수 있다. 그는 태종의 작시(作詩) 고문이었고, 대구(對句)의 분류를 행하였다. 측천무후 시대에는 “사걸(四傑)”이라 불린 왕박(王勃), 양형(楊炯), 노조린(盧照鄰), 낙빈왕(駱賓王)과, 소미도(蘇味道), 이교(李嶠), 침전기(沈佺期), 송지문(宋之問)이 상관의의 시의 발전을 이었다. 특히 침전기, 송지문 등에 의해 칠언율시의 시형이 만들어지고, 근체시의 운율이 정비되었다. 이 무렵에는 아직 문학의 중심이 궁정에 있었고, 송지문은 25편 정도 “응제(應制)”에 해당하는 작품을 남겼다.[75] 진자앙(陳子昂)은 측천무후 시대의 이색적인 시인으로 평가된다.[76]
- 성당(710-765): 최성기. 성당에 들어서면서 시는 궁정을 떠나[77], 왕유(王維), 맹호연(孟浩然), 고적(高適), 잠참(岑參), 이백(李白), 두보(杜甫) 등에 의해 시의 황금기가 건설되었다. 명나라 장지상(張之象)의 『당시류원(唐詩類苑)』의 권두에 약 1000명의 당나라 시인의 이름이 열거되어 있지만, 그중 성당에 속하는 사람은 약 242명이라고 한다. 성당은 왕유·맹호연 그룹과 고적·잠참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자연의 풍경을 사랑하고 묘사한 사람들이고, 후자는 중국 변방의 이색적인 풍물, 생활을 묘사한 사람들이라고 할 수 있다. 또, 율시의 시형은 초당 말엽에서 성당에 걸쳐 성숙, 완성되지만, 고시(古詩)의 형식은 이 성당부터 시작된다. 이 성당에는 여류 시인이 부족하다는 점도 지적할 수 있다.[78]
- 중당(766-835): 변혁기. 백거이(白居易), 유종원(柳宗元), 한유(韓愈), 이하(李賀) 등.
이 시대의 산문은 사륙변려체(四六駢儷體)라는 미문으로 쓰여졌다. 한유(韓愈)(768년 - 824년)는 시뿐만 아니라 산문에서 문학이라 부를 만한 작품을 남겨, 그때까지의 운문 중심이던 문학에 새로운 흐름을 만들었다. 사륙변려문에 이어 고문(古文)이라 불리는 옛날의 자유로운 문체를 사용하였다.
육조의 지괴소설(志怪小說)은 당나라에 이르러 “전기(傳奇)”나 “고경기(古鏡記)” 등의 전기소설로 발전한다. 그러나 북송 이후에는 다시 지괴소설로 회귀한다. 『이견지(夷堅志)』나 청나라의 『요재지이(聊齋志異)』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유선굴(遊仙窟)』이 저술되었으나, 중국에서는 산일(散逸)되어 일본에 남았다.
2. 5. 송대(宋代)
시에서는 송대 초기에 晚唐(만당)의 화려한 시풍이 계승되었고, 진종 때에는 이상은의 시풍을 모방한 서곤체가 성행하였다. 그 대표적인 시인으로는 양억, 류균, 전유연이 있다.그중 왕우칭은 소박하고 평담한 자연체의 시를 지었다. 인종 때에 이르러 오양수에 의해 중시된 매요천과 소순친 등이 신선한 시를 지어 그때까지의 시풍을 일변시켰다. 이에 따라 귀족에 의한 서정적이고 미적인 시풍을 특징으로 하는 당시에 대하여, 사대부에 의한 지적이고 정치적인 시풍을 특징으로 하는 송시의 기초가 확립되었다.
신종 때에 이르러 왕안석이 정치적인 논의 시를 많이 지었다. 그리고 소식(소동파)(1036년 - 1101년)은 기지에 넘치는 뛰어난 작품을 남겨 후세에 큰 영향을 주었다. 소식의 문하에 많은 뛰어난 시인이 나타났지만, 특히 황정견은 소식에 필적한다고 여겨져 세상에 "소황"이라 불렸다. 남송 시대, 황정견을 모방한 시풍이 성행하여, 강서시파라고 불리는 일파를 형성하였다.
송이 남쪽으로 도읍을 옮긴 격동기에 당시의 서정성으로의 회귀가 보였고, 그 시풍은 남송 사대가라고 불리는 육유, 범성대, 양만리, 우묘 등에 의해 발전되었다. 남송 후기에 이르러 여러 갈래의 시파가 형성되었는데, 그중 강호시파가 유명하다. 강호시파에서는 하급 관료나 산림의 은사 등 정치적 지위가 없는 작은 시인들이 활약하였다. 남송 말, 원의 침략 속에서 문천상 등 애국의 시가 읊어졌다.
송대는 "사"라고 불리는 가요 문예가 성행하여, 송사라고 불린다. 송사의 시풍은 크게 8종류(북송 5, 남송 3)의 유형으로 나뉜다. 그중 가장 영향력이 있었던 것은 호방사와 완약사이며, 호방사의 대표적인 사인은 소식, 신기질이며, 또 류과, 진량, 류극장이 있다. 완약사의 대표적인 사인은 류영, 진관, 안수, 이청조이며, 또 오양수, 주방언, 강규, 안기도 등이 있다.
송대 소설은 설화의 저본인 "화본"을 주로 한다. 장편 소설에는 『신편오대사평화』, 『대당삼장취경시화』, 『대송선화유사』, 『삼국지평화』 등이 있다. 단편 소설로는, 지괴 소설집인 『이견지』가 있다.
2. 6. 원대(元代)
원 시대에는 잡극과 산곡이 번성했다. 이것들을 총칭하여 원곡이라고 한다. 또한 소설이 쓰이기 시작했는데, 이전까지는 속된 것이라 여겨져 훌륭한 인물이 다루는 것이 아니라고 여겨졌다. 그러나 원나라의 지배하에서는 훌륭한 인물, 즉 한족 관료들이 냉대를 받아 관직에 오르지 못했기 때문에 이러한 것들을 다루게 되었다. 그것이 민간 문학의 활력을 낳았다.2. 7. 명대(明代)
영락 연간(1403년 - 1424년)에는 상급 관료들에 의해 봉건적 도덕을 선양하는 문풍인 대각체(台閣體)가 나타났다. 그 대표적인 작가로는 양사기(楊士奇)·양영(楊榮)·양부의 이른바 "삼양(三楊)"이 있다. 대각체는 그 후 궁정적인 경향을 띠면서 무기력하고 평범한 작풍에 빠졌다.성화제(成化) 시대에는 이동양(李東陽)을 대표로 하는 차릉파(茶陵派)가 등장하여 대각체를 대신할 새로운 문학의 탐색이 시작되었고, 복고주의적인 경향을 보였다. 홍지(1488년 - 1505년)·정덕(1506년 - 1521년) 연간에는 이동양이 과거(科挙)를 통해 발탁한 이몽양(李夢陽)·하경명(何景明) 등 전칠자(前七子)가 활약하여 침체되어 있던 문단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그들은 "문은 반드시 진한(秦漢), 시는 반드시 성당(盛唐)"을 표방하며 숭고주의를 제창했다. 이상으로 삼는 고인의 시문의 "격조(格調)"를 모방하여 창작하는 것을 주장하며, "격조설(格調說)"이라고 불리는 문학 이론을 전개했다. 이러한 경향은 가정제(嘉靖)(1522년 - 1566년)·융경(1567년-1572년) 연간에 활약한 이반룡(李攀龍)·왕세정(王世貞) 등 후칠자(後七子)에 의해 계승 발전되었다. 그들이 모방하여 창작한 숭고문을 당송의 고문과 구별하는 경우 고문사(古文辭)라고 한다.
한편, 칠자파의 숭고주의에 반대하는 파벌도 나타났다. 왕신중(王慎中)·당순지(唐順之)·귀유광(歸有光)·모곤(茅坤) 등은 송나라 유학자들의 "문도합일(文道合一)"의 주장에 공감하여 "문필진한(文必秦漢), 시필성당(詩必盛唐)"의 주장을 배척했다.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를 숭상하여, 당송파(唐宋派)라고 불린다. 만력제(万暦) 연간에는 이지(李贄)](李卓吾)가 나타나 복고 모방의 문학에 반대하며, 창작은 고전적인 규범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의 마음의 발산에 근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지에게 사사한
2. 8. 청대(淸代)
청나라 시대에는 장편소설의 걸작인 『홍루몽』과 『유림외사』가 쓰였다. 단편 지괴소설집으로는 『요재지이』(여자 유령과 인연을 맺는 이야기가 있다)가 있다.말기의 소설은 만청소설(청말소설)이라고 불린다. 그 안의 흐름으로서, 중국의 소설가인 루쉰은 풍자소설보다 직접적인 정치 비판을 하는 晚清四大谴责小说|견책소설중국어이라는 장르를 지적하고 있다.[80][81]
2. 9. 중화민국(中華民國)
신해혁명 이후 서양 문화의 유입과 근대화로 중국 문학은 큰 변화를 겪었다. 1917년 신청년을 중심으로 문학혁명이 일어나 근대 소설이 발생하여 문학의 중심이 되었다. 루쉰의 광인일기, 아Q정전 등이 쓰였다.[35]2. 10.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초기에는 마오쩌둥(毛澤東)의 『문예강화』(文芸講話)가 지도적 문헌으로 여겨져 작품의 사상성이 중시되었다.[40] 마오쩌둥은 사회주의 문학이 기존 문화를 단순히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사회의 의식을 문화적으로 생산하는 데 도움이 되어야 한다고 보았다.[40] 그는 사회주의 문화 생산에 대한 다섯 가지 창작 고려 사항으로 (1) 계급 입장, (2) 태도, (3) 대상 독자, (4) 작업 방식, (5) 대중화/대중화를 제시했다.[40]1966년부터 1976년까지 이어진 문화대혁명 시기에는 문학이 정치 선전 도구로 이용되었다.[43] 마오쩌둥의 부인 장칭은 "봉건적"이고 "부르주아적"인 문화에 대한 운동을 이끌었으며, 허용된 유일한 무대 공연은 그녀의 "혁명적 오페라(八个样板戏)"였다.[43] 하오란의 작품과 같은 정치적으로 정통적인 영화와 영웅적인 소설들이 큰 인기를 얻었다.[43]
1978년 개혁개방 이후 다양한 장르의 문학이 발전했으며, 2000년 가오싱젠과 2012년 모옌이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그러나 라오서가 문화대혁명 때 자살로 몰리는 등 정치와의 긴장 관계는 여전히 존재한다.
3. 형식에 따른 분류
중국 문학은 내용, 형식,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문어체 | 구어체 |
---|---|
3. 1. 시(詩)
중국 시는 오랜 역사와 다양한 형식을 자랑한다. 최초의 시가 작품은 주나라 때 쓰인 시경이다. 시경은 '풍'(風), '아'(雅), '송'(頌)의 세 가지 체재와 '부'(賦), '비'(比), '흥'(興)의 세 가지 작법을 활용하여, 대부분 연애, 수렵, 농작, 제사, 전쟁 등을 주제로 다루었다. 주로 네 글자로 이루어진 소박한 형식으로 쓰였으며, '사무사'(思無邪)라는 말처럼 꾸밈없고 진솔한 감정을 표현하는 사실주의와 낭만주의 전통을 확립했다.[84]춘추 시대 이후에는 장강(양쯔강) 이남 지역에서 초사라는 새로운 시가가 등장했다. 초사는 '혜'(兮), '사'(些), '지'(只)'와 같은 어조사를 사용하여 비교적 자유로운 형식을 띠며, 정열과 환상, 충성심과 비통함 등을 담아냈다. 특히, 굴원은 중국 시 역사상 최초의 서정 시인으로 꼽힌다.[84]
한나라 시대에는 변체시(變體詩)가 나타났는데, 궁중 문학인 '부'(賦)와 민간 가요인 악부가 대표적이다. 악부는 시경과 초사의 전통을 이어받아, 음악과 함께 불리는 새로운 형식을 통해 오언시(五言詩)의 발전에 기여했다.[84]
한말에서 위나라 초기에는 오언시가 정형화되었다. '고시십구수'(古詩十九首), 조조를 비롯한 조씨 부자(曺氏父子)와 건안칠자 등의 시, 그리고 장편 서사시 '공작동남비'(孔雀東南飛) 등이 이 시기의 대표적인 작품이다. 위진 남북조 시대는 정치적으로 혼란스러웠지만, 문학적으로는 오히려 발전하여 문학이 학문과 분리되고, 유교의 교조적인 전통에서 벗어나 자연을 소재로 한 성정(性情) 문학이 새로운 경지에 이르렀다. 도연명과 사령운 등이 대표적인 시인이며, 칠언체(七言體)가 성립된 것도 이 시기의 중요한 업적이다.[84]
중국 시의 전성기는 당나라 시대였다. 오언, 칠언, 고체시, 근체시, 절구 등 다양한 형식의 시가 창작되었으며, 이백과 두보를 비롯한 수많은 시인들이 등장하여 중국 시 문학을 화려하게 꽃피웠다.[84]
송나라 시대에는 소식, 황정견, 육유, 왕안석 등의 시인들이 불교적이면서도 주지적인 시를 창작하여 명맥을 이었지만, 시보다는 '사'(詞)가 더 융성했다. 당나라 때 싹튼 '사'는 송나라 시대에 이르러 다양한 음조와 풍격을 갖춘 음악적인 시로 발전했다.[84]
원나라와 명나라 시대에는 시가 모방의 단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답보 상태에 머물렀다. 대신 '곡'(曲)이 시와 사의 전통을 이어받아 발전했다. '곡'은 노래하는 희곡으로 널리 불렸으며, 관한경 등의 작가들이 활약했다.[84]
명나라 시대의 시는 전후칠자(前後七子)를 중심으로 당나라 시를 모방한 복고풍이 강했다. 청나라 시대에는 강좌삼대가(江左三大家)를 중심으로 다양한 시 형식과 풍격이 시도되었고, 시 이론도 함께 발전했다. 청말에는 황쭌셴이 시의 생활화와 자유화를 주장했고, 외국 시 번역의 영향으로 신시(新詩)가 등장했다.[84]
3. 1. 1. 고체시(古體詩)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시를 말한다. 시경, 악부, 고시 등이 있다.[84]3. 1. 2. 근체시(近體詩)
당나라 때 정형화된 시 형식으로, 절구, 율시, 배율 등이 있다. 근체시는 엄격한 규칙을 따르는 것이 특징이다.[84]3. 2. 사부(詞賦)
춘추전국 시대 초나라 지역에서 발생한 초사는 굴원(기원전 340년경~278년경)과 송유(3세기 전반 활동) 등이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절망적이고 환상적인 묘사가 특징이다.[8] 「초사」는 한 줄에 여섯 글자의 운율을 사용하고, 중간에 강한 시적 절단을 넣어 극적인 리듬을 만들어낸다.한나라 시대에는 서술적이고 박식한 부(賦) 형식이 발전했다.[9] '부'는 "운문(韻文)"이라고 불리며, 중국 시 전통에서 한나라 시대의 독특한 갈래가 되었다.
3. 2. 1. 초사(楚辭)
楚辭|초사중국어는 전국시대 초나라에서 발생한 시가 형식으로, 굴원의 작품이 대표적이다.3. 2. 2. 부(賦)
한나라(기원전 206년~서기 220년) 때 「시」 형식의 시는 거의 혁신을 거치지 않았다. 그러나 독특하게 서술적이고 박식한 「부」 형식(운문(韻文))이 발전했는데,[9] 이는 중국 시 전통에서 한나라 시대의 독특한 갈래가 되었다. 부는 화려한 문체와 과장된 표현이 특징이다.3. 3. 사(詞)
사()는 당나라 때 발생하여 송나라 때 전성기를 맞은 가사 문학이다.[49]3. 4. 산문(散文)
중국의 산문은 시에 비해 순수 문학적인 성격이 덜하며, 대부분 사상을 논하거나(說理的) 사실을 기록하는(記事的) 성격을 띤다. 사상을 논하는 글은 주로 사상가들에 의해 쓰였고, 사실을 기록하는 글은 역사적인 성격을 띤다.초기 산문으로는 《상서》(尙書)와 《좌전》(左傳)을 들 수 있으며, 철학적인 내용을 담은 것으로는 《논어》와 《도덕경》이 있다. 한나라 시대에는 사마천의 《사기》, 반고의 《한서》, 범엽의 《후한서》 등이 대표적인 작품으로 꼽히지만, 이 중 순수 문학성을 띤 작품으로는 당송팔대가의 산문을 들 수 있다.[1] 이 외에도 예술성을 띤 작품으로는 유종원의 영주팔기(永州八記), 소식의 적벽부(赤壁賦), 한유의 제십이랑문(祭十二郞文), 구양수의 추성부(秋聲賦) 등이 있다.[1]
명나라 시대에는 산문이 쇠퇴하였고, 청나라 시대에는 방포(方苞), 유대괴, 요정 등을 중심으로 한 동성파(桐城派)가 등장하여 문도합일(文道合一)을 주장하며 고문 부흥 운동을 펼쳤으나, 결국 산문은 역사적, 철학적 굴레를 벗어나지 못했다.[1]
3. 5. 소설(小說)
춘추전국 시대에 해당하는 동주 시대(기원전 770년–기원전 256년)에는 초기 중국 문학이 방대하게 등장했다. 이 시기 문학은 대부분 철학적이고 교훈적인 성격을 띠었으며, 시와 노래를 제외하면 허구적인 요소는 거의 없었다. 하지만 이 텍스트들은 사상과 산문 스타일 면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특히 유교 작품은 중국 문화와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12세기에는 '사서오경'이 과거 시험의 기초로 채택되어 교육 제도의 중심이 되었다.[1]1989년 천안문 사건(1989년 천안문 대학살) 이후 시장 개혁이 심화되면서 문학은 상업적이고 탈속적인 경향을 보였다. 왕슈오(王朔)는 이러한 변화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불량 청년" 작가이다. 연련커(閻連科)와 같은 작가들은 사회 문제를 폭로하는 문학의 역할을 강조하며, 류헝(劉恒), 치리(遲子建), 팡팡(方方), 허둔(何頓), 주원(朱文) 등의 신사실주의 소설도 주목받았다.
마르틴 뵈슬러(Martin Woesler)에 따르면, 현대 중국 문학은 "컬트 문학", 방랑 문학, 지하 문학, 역사적 문학, "무언가에 대한 동경" 문학, 티베트 문학, 대도시 문학, 여성 문학, 거대 서사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난다.[46] 또한, 비판적인 사회 비평 또한 인기 있는 형식인데, 예를 들어 한한(韓寒)의 소설 《그의 나라》는 비판적 주류에 반대되는 초현실적인 스타일로 쓰여졌지만, 2009년 중국 베스트셀러 순위 1위를 차지했다.[47]
중국어 문학은 해외, 특히 동남아시아, 미국, 유럽에서도 번창하고 있다. 국제출판협회의 2014년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책, 잡지, 신문 발행량에서 세계 최대 규모이다.[48] 가오싱젠(高行健)은 2000년 노벨 문학상을 받은 최초의 중국 작가가 되었고, 2012년에는 모옌(莫言)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2015년에는 아동 작가 차오원촨(曹文軒)이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상을 수상하여 이 상을 받은 최초의 중국 작가가 되었다.[49]
3. 5. 1. 고전 소설
당나라의 전기소설(傳奇小說), 송나라의 평화(平話), 원나라의 장회소설(章回小說), 명·청대의 장편 소설 등을 다룬다.당대의 전기소설(傳奇小說)은 소설로서의 체재와 인물묘사, 스토리 구성 등이 오늘날의 소설에 접근할 정도로 발전하였다. 대표작품으로 고경기(古鏡記), 유의전, 잡혼기(雜魂記), 이왜전, 유씨전 (柳氏傳), 장한가전, 침중기, 남가태수전 등이 있다.[1]
송대에는 전기소설이 몰락하고 '평화(平話)'로 대체되었는데, 평화는 평민화한 전기로 남에게 읽히고 들려주던 것이었다. 은자아(銀字兒)·설공안(說公案) 등과 같은 탐정류와 강사(講史)와 같이 역사성을 띤 허구류가 있었다.[1]
원대에는 《수호전》, 《삼국지연의》와 같은 백화(白話)로 된 장회소설(章回小說)이 처음으로 등장하여 명·청대의 본격적인 소설 시대를 열었다.[1]
명대는 장회소설의 발달기였다. 《봉신연의》, 《서유기》 등의 소설들을 비롯하여 기서로 알려진 《금병매》가 대표적이다.[1]
청대는 소설의 전성기로, 제재나 기교가 뛰어났다. 《유림외사》, 《관장현형기》등의 사회풍자 소설, 야수폭언·경화연 등의 이상소설, 《홍루몽》으로 대표되는 애정소설, 아녀영웅전, 삼협오의 등의 무협소설이 있다.[1]
3. 5. 2. 현대 소설
신문화운동(1910년대~1920년대)은 현대 중국 문학의 기원으로 여겨진다. 청말(1895년~1911년) 국난 의식으로 촉발된 지적 격변기에 지식인들은 서구의 문학 작품을 번역하여 새로운 사상을 소개했다. 엄복(嚴復)(1864–1921)과 임서(林紓)(1852–1924)의 번역이 가장 뛰어났다. 1905년 과거 제도 폐지 이후 문인들은 새로운 사회적, 문화적 역할을 찾기 위해 소설 창작에 힘썼다. 이들은 중국 소설 전통과 서구 서사 방식을 결합하여 사회 문제, 역사적 격변, 변화하는 윤리적 가치 등 당대 현실을 반영했다. 주요 작가로는 오육요(吳沃堯)(1866–1910), 이보원(李伯元)(1867–1906), 류악(劉鶚)(1857–1909), 증박(曾樸)(1872–1935) 등이 있다.1911년 신해혁명 직전에는 고전어와 구어로 쓰인 인기 연애 소설이 유행했으나, 신문화운동가들은 이를 “오리와 나비(Mandarin Ducks and Butterflies)” 소설이라 비판하며 사회적 참여를 강조했다. 신문화운동 과정에서 문학 개혁가 후스(胡適) (1891–1962)와 천두슈(陳獨秀) (1880–1942)는 고전어를 “죽은 언어”라 비판하고 구어를 장려했다. 루쉰(魯迅) (1881–1936)은 새로운 구어 산문의 주요 작가로 평가받는다.[35]
5·4 운동의 급진주의와 교육 제도의 변화는 대규모 여성 작가 그룹의 출현을 가져왔다.[16] 이들은 성별 관계, 가족, 우정, 전쟁 등 가정 문제를 다루면서도 여성 주관성을 직접적으로 표현했다. 딩링(丁玲)의 ''소피아 양의 일기(Miss Sophia's Diary)''는 여성의 생각과 감정을 복잡하게 보여준다.
1920년대 후반과 1930년대에는 다양한 예술 이론을 지지하는 문예지와 단체들이 등장했다. 궈머뤄(郭沫若) (1892–1978), 마오둔(茅盾) (1896–1981), 라오서(老舍) (1899–1966), 바진(巴金) (1904–2005) 등이 주요 작가로 활동했다. 좌익 작가 연맹은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채택하여 예술이 현대 사건에 집중하고 공산주의의 미래를 홍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8]
중일전쟁 중에는 고전 양식의 시가 부활했다.[39] 중국 공산당은 장정 후 연안에 기지를 세우고, 1942년 마오쩌둥은 연안 예술 및 문학 포럼에서의 강연을 통해 문학을 정치에 종속시켰다.[40]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사회주의 사실주의가 표준 양식이 되었고, 많은 소련 작품들이 번역되었다. 대약진운동(1957~59) 시기에는 혁명적 사실주의와 혁명적 낭만주의가 결합된 문학이 장려되었다. 계급 투쟁은 1950년대 후반 문학의 주요 서사 구조였다.[40]
1989년 천안문 사건(1989년 천안문 대학살) 이후 시장 개혁이 심화되면서 문학은 상업적이고 탈속적인 경향을 보였다. 왕슈오(王朔)는 이러한 변화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불량 청년" 작가이다. 연련커(閻連科)와 같은 작가들은 사회 문제를 폭로하는 문학의 역할을 강조하며, 류헝(劉恒), 치리(遲子建), 팡팡(方方), 허둔(何頓), 주원(朱文) 등의 신사실주의 소설도 주목받았다.
3. 6. 희곡(戲曲)
원나라 시대에는 잡극(雜劇)이 크게 발달하였다. 잡극은 노래, 대사, 동작으로 구성된 종합 예술로, 주로 서민들의 삶을 다루며 현실 비판적인 내용을 담고 있었다. 관한경(關漢卿), 왕실보(王實甫), 백박(白樸), 마치원(馬致遠) 등이 대표적인 작가로 꼽힌다.명나라, 청나라 시대에는 전기(傳奇)가 유행하였다. 전기는 잡극보다 규모가 크고 복잡한 구성을 가지며, 주로 남녀 간의 사랑 이야기를 다루었다. 탕현조(湯顯祖)의 《모란정(牡丹亭)》, 홍승(洪昇)의 《장생전(長生殿)》, 공상임(孔尙任)의 《도화선(桃花扇)》 등이 유명하다.
4. 주요 작품
춘추전국 시대의 동주 시대(기원전 770년–기원전 256년)에는 초기 중국 문학이 많이 등장했다. 유교, 도교, 묵가, 법가 경전과 군사 과학, 중국 역사 관련 저술이 중요했다. 대부분 철학적이고 교훈적이며, 시와 노래를 제외하면 허구적인 요소는 거의 없었다. 그러나 이 텍스트들은 사상과 산문 스타일 면에서 중요했다.[4]
유교 작품은 중국 문화와 역사에서 중요하며, 12세기에는 '사서오경'이 과거 시험의 기초가 되었다. 공자가 주석을 달고 편집한 '오경'과 '사서'로 나뉜다.
'오경'은 다음과 같다.
제목 | 설명 |
---|---|
주역 | 점복서 |
시경 | 시, 민요, 축제 및 의식 노래, 찬가 모음집 |
예기 | 예의 기록 |
서경 | 초기 중국 산문 모음집, 주 시대 초기 통치자와 관리들의 문서와 연설 |
춘추 | 기원전 722년부터 기원전 479년까지 노나라의 역사 기록 |
'사서'는 다음과 같다.
"포용적인 사랑"을 가르치는 묵가의 묵자와 법가의 한비자도 중요한 철학 작품이다. 도교 경전으로는 도덕경, 장자, 렬자가 있다. 유안(기원전 2세기)의 회남자는 지리학과 지형학 분야에 기여했다.
손자(기원전 6세기)의 손자병법은 효과적인 국제 외교 지침을 제시하고, 무경총요(1044년)와 화룡경(14세기) 같은 중국 군사 논문의 전통을 열었다.
중국에서는 궁중 기록을 정확히 유지했으며, 기원전 841년 서주의 공화 시대 초기부터 모순 없이 기록을 조정했다. 가장 오래된 서술적 역사는 기원전 389년 이전의 《좌전》이다. 《서경》은 기원전 6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1993년 후베이 무덤에서 발굴된 국전죽간의 저술 시기인 기원전 4세기에 편찬되었다. 《서경》의 《여공》 장에는 초기 지리 정보가 있다.[4] 281년 위왕의 무덤에서 발견된 《한서(Bamboo Annals)》도 있지만, 《좌전》과 달리 진위 여부가 의문이다. 《전국책》은 기원전 3세기와 1세기 사이의 정치 전략서로, 기원전 2세기 마왕퇴 무덤에서 일부 발견되었다(마왕퇴 한묘 출토 문서). 가장 오래된 사전은 기원전 3세기의 《爾雅(Erya)》이며, 국포(276–324)가 주석을 달았다. 양웅(기원전 53년~서기 18년)의 《方言(Fangyan (book))》과 서정(58~147년)의 《說文解字(Shuowen Jiezi)》도 초기 사전이다. 1716년 편찬된 《康熙字典(Kangxi Dictionary)》은 4만 7천 개 이상의 한자 정의를 제공한다.
한나라 궁중 역사가 사마천(기원전 145년~기원전 90년)의 《사기》는 초기 중국 역사 저술의 결정적인 작품이다. 중국 역사서술과 이후 공식 역사 서적의 기반을 마련했다. 사마천은 헤로도토스와 비교되는데, 신화 속 하나라부터 한무제 통치까지 다루면서 객관적인 입장을 유지했기 때문이다. 반고와 반조의 한서와 사마광의 11세기 《자치통감》에 영향을 미쳤다. 중국 역사서술 전통은 명나라까지의 《24사》로 불린다.
《藝文類聚(Yiwen Leiju)》(624년), 《송사대전(Four Great Books of Song)》(10세기~11세기, 太平廣記(Taiping Guangji)(978), 太平御覽(Taiping Yulan)(983), 文苑英華(Wenyuan Yinghua)(986), 冊府元龜(Cefu Yuangui)(1013) 포함), 《永樂大典(Yongle Encyclopedia)》(1408, 5천만 자),[5] 《古今圖書集成(Complete Classics Collection of Ancient China)》(1726, 1억 자 이상) 등 방대한 백과사전도 제작되었다. 신괄의 《夢溪筆談(Dream Pool Essays)》, 왕증의 《農書(Nongshu)》, 송응성의 《天工開物(Tiangong Kaiwu)》도 중요한 백과사전이다.
중국 시의 전통은 「시경」(기원전 11세기~7세기경)과 「초사」로 시작되었다.[6] 공자는 「시경」 편찬에 기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초사」는 굴원(기원전 340년경~278년경)과 송유(3세기 전반 활동)에게 귀속되며, 절망과 환상적인 묘사가 특징이다.[8]
진나라와 한나라 시대에는 「부」 형식이 발전했고,[9] 악부(樂府) 시가 주목받았다. 한나라 말기에는 익명의 「열구시」와 함께 「시」 시가 부활했다.[10] 건안시대(196년~220년) 이후 오언절구가 혁신의 중심이 되었다.[11] 위나라 조씨 가문은 시인으로 두각을 나타냈고,[12] 원적(210~263)은 진정한 감정을 강조했다.[13] 사령운(385~433)은 자연시를,[14] 도잠(365~427)은 농촌시를 발전시켰다.[15] 소씨 가문은 남량(502~557)의 궁정 스타일 시를 썼다.[16]
당나라는 시의 정점이었다. 불교 선종의 왕유(701~761)는 자연을 묘사하는 절구를 썼다.[18] 이백(701~762)은 다양한 스타일에서 활동했고,[20] 두보(712~770)는 율시와 칠언절구에 탁월했다.[22] 진자앙, 왕지환, 맹호연, 백거이, 이하, 두목, 온정운, 이상인 등도 유명하다.[24] 「사」 시 형식도 발전했다.[25]
송나라에서는 오양수, 소식, 왕안석 등이 시인이었다. 「사」 형식이 번영했고,[26] 송나라와 당나라 시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27] 원나라에서는 「곡」 오페라와 「산곡」 형식이 발전했다.[28]
명나라와 청나라에서는 고전 중국 시 작문이 교육받은 사람들의 기술이 되었다. 100만 편 이상의 시가 보존되었고,[29] 심주, 당인, 문정명, 운수평 같은 화가 시인들이 등장했다.[30]
초기 중국 산문은 춘추전국 시대(기원전 770~221년) 철학 저술의 영향을 받았다. 묵자, 맹자, 장주는 강력한 문체를 보여주었다. 기원전 3세기까지 간결하고 경제적인 문체가 발전했다.
당나라 시대에는 한유(768~824)의 신고전주의적 산문이 등장했다. 한유는 "당송팔대가" 중 한 명이다.
송나라는 "여행 기록 문학"이 인기였다. 여행 문학은 범성대, 서하객 등이 실천했고, 소식의 ''석종산기''가 대표적이다.
14세기 이후 구어 소설이 인기를 얻었다. 18세기 가정 소설 ''홍루몽''이 대표적이다.
중국 소설은 《세상 이야기의 새 기록(A New Account of the Tales of the World)》, 《초자연 추구(In Search of the Supernatural)》(4~5세기), 《문원영화》, 《대당서역기(Great Tang Records on the Western Regions)》, 《유양잡조(Miscellaneous Morsels from Youyang)》, 《태평광기(Taiping Guangji)》 등에 뿌리를 둔다. 송나라 이전부터 《변문(bianwen)》, 《평서(pingshu)》, 《화본(huaben)》 등이 있었다. 소설은 중국과 유럽에서 14세기에서 18세기에 발전했다.
송나라 시대부터 화폐 경제, 도시화, 인쇄술, 교육 수준 향상으로 오락이 전문화되었다. 명나라 말기와 청나라 초기의 중국 소설은 다양하고 실험적이었다.[34]
말기 청나라는 지적 격변기였다. 서구 문학 번역이 이루어졌고, 엄복(嚴復)과 임서(林紓)가 뛰어났다. 1905년 과거 제도 폐지 이후 소설 창작이 붐을 이루었다. 오육요(吳沃堯), 이보원(李伯元), 류악(劉鶚), 증박(曾樸) 등이 대표적이다.
"시계혁명"이 일어났지만, 진연(陳衍), 진삼립(陳三立), 정효서(鄭孝胥), 심증직(沈曾植) 등은 송대 스타일을 장려했다. 문명극(文明戲)과 경극도 인기였다.
1911년 청나라 멸망 직전에는 연애 소설이 주도했고, 신문화 운동가들은 이를 “오리와 나비(Mandarin Ducks and Butterflies)” 소설로 비판했다.
1910년대와 1920년대 신문화운동에서 구어가 고전어를 대체했다. 후스(胡適)와 천두슈(陳獨秀)는 구어를 장려했다. 루쉰(魯迅)은 새로운 구어 산문의 주요 스타일리스트였다.[35]
시인들도 구어를 실험했지만, 현대시는 1930년대에 주샹(朱湘), 다이왕슈(戴望舒), 리진파(李金發), 원이두오(聞一多), 거샤오(葛蕭) 등에 의해 번성했다. 위다푸(郁達夫)는 고전 양식을 썼다.
5·4 운동으로 여성 작가 그룹이 등장했다. 딩링(丁玲)의 ''소피아 양의 일기(Miss Sophia's Diary)''는 여성의 생각을 보여준다. "신여성"과 "모던걸" 원형이 발전했고,[37] 피임과 중국의 낙태를 다룬 문학도 등장했다.
1920년대와 1930년대에는 오양위첸(歐陽予倩), 홍션(洪深), 톈한(田漢), 차오위(曹禺) 등의 구어극이 등장했다. 매란방(梅蘭芳)의 경극도 인기였다.
"나비 소설"은 저급 문화 소설과 유사했다.[40]
1920년대 후반과 1930년대에는 궈머뤄(郭沫若), 마오둔(茅盾), 라오서(老舍), 바진(巴金) 등이 주요 작가였다.
4. 1. 4대 기서(四大奇書)
중국 문학의 4대 기서(四大奇書|쓰다치수중국어)는 다음과 같다. (저작된 순서대로)여기에 《봉신연의》를 덧붙여 5대 기서로 보는 시각도 있다. 중국에서는 《금병매》 대신 《홍루몽》을 포함해 네 작품을 '4대 명저'(四大名著|쓰다밍주중국어)로 부르기도 한다.[44]
4. 2. 4대 명저(四大名著)
중국에서는 《금병매》 대신 《홍루몽》을 포함해 네 작품을 '4대 명저'(四大名著|쓰다밍주중국어)로 부르기도 한다.[44]4. 3. 현대 소설
루쉰(魯迅)의 아큐정전은 1921년에 발표된 현대 소설의 대표작 중 하나이다.[50] 신해혁명 이후 서양 문화가 유입되고 근대화가 진행되면서 중국 문학은 큰 변화를 겪었다. 1917년 신청년을 중심으로 문학혁명이 일어나 근대 소설이 문학의 중심이 되었다. 루쉰은 광인일기와 아Q정전을 통해 이러한 변화를 이끌었다.1920년대 후반부터 신문학은 성숙기에 접어들었고, 마오둔(茅盾), 바진(巴金), 라오서(老舍), 딩링(丁玲), 차오위(曹禺), 궈머뤄(郭沫若) 등 여러 작가들이 활발하게 활동했다.
5. 온라인 문학
21세기에 들어 중국에서 온라인 문학은 미국이나 세계 다른 지역보다 훨씬 중요한 역할을 한다.[51] 대부분의 책이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하며, 인기 소설들은 수백만 명의 독자를 확보한다. 평균 가격은 2CNY로, 인쇄된 책 평균 가격의 10분의 1 정도이다.[52][53][54][55] 중국 온라인 문학은 중국어로 쓰여지고 디지털 플랫폼에서 창작 및 소비되는 작품들을 포괄한다. 인터넷 확장과 함께, 특히 모바일 독서의 등장과 함께 발전하여 연재 출판과 스크롤 기반 플랫폼에서 번성한다. 초기 이정표는 1990년대 후반 榕树下(용수하)와 같은 사이트와 대만의 BBS에서 채지항(蔡智恒)의 첫 번째 친밀한 접촉(The First Intimate Contact)과 같은 영향력 있는 작품으로 거슬러 올라간다.[56] 2000년대가 되면서 중국 온라인 문학은 치뎬(起点)과 진장문학성(晋江文学城)과 같은 플랫폼이 연재 스토리텔링을 상업화하면서 주요 문화 현상으로 변모했다. 치뎬(起点)과 같은 플랫폼은 혁신적인 프리미엄 모델을 도입하여 2015년 텐센트와 샨다 문학(Shanda Literature)의 합병 이후 월문문학(阅文文学)(중국문학유한공사)과 같은 수익성 있는 사업의 길을 열었다.[57][58][59] 샨다 문학 유한공사(Shanda Literature Ltd.)는 매일 8,000편의 중국 문학 작품을 출판한다고 주장하는 온라인 출판사이다. 이러한 플랫폼은 판타지와 선협소설과 같은 인기 장르에 초점을 맞추고 작가들에게 유연한 계약을 제공하여 시장 수요를 충족한다. 작가들은 인세 또는 일일 산출량에 연동된 급여를 받으며, 일부에게는 온라인 문학을 생계 수단으로 만든다. 예를 들어 탕쟈싼샤오(唐家三少)와 같은 작가는 작품 집필과 각색을 통해 수백만을 벌었다. 오늘날 중국의 온라인 문학은 독자들이 댓글, 평점, 금전적 선물을 통해 작가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영향을 미치는 사용자 중심의 경제에 의해 지속되고 있다. 팬덤은 중요한 역할을 하며, 종종 스토리 방향을 제시하고 작가들이 업데이트를 지속하도록 동기를 부여한다.[60] 국제적으로 Wuxiaworld와 Webnovel과 같은 플랫폼은 번역팀과 기계 학습 도구를 활용하여 선협(Xianxia)과 무협(Wuxia)과 같은 중국 장르를 세계적인 독자들에게 선보였다.[61] AI 지원 번역이 유망하지만, 인간의 노력과 비교했을 때 윤리와 예술성에 대한 논쟁은 여전히 존재한다.[62] 중국 온라인 문학은 특히 단미(Danmei) 주제와 관련하여 검열에 대한 논쟁의 중심이 되어 왔다.[63]
참조
[1]
서적
Sinophone literature
2017
[2]
서적
The Shaping of the Book of Songs
Institut Monumenta Serica
2007
[3]
서적
文学出于巫祝之官说
[4]
서적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59
[5]
서적
2006
[6]
서적
2008
[7]
서적
2008
[8]
서적
2008
[9]
서적
2008
[10]
서적
2008
[11]
서적
1986
[12]
서적
1986
[13]
서적
1971
[14]
서적
1986
[15]
서적
2008
[16]
서적
1986
[17]
서적
[18]
서적
1971
[19]
서적
1982
[20]
서적
2008
[21]
서적
1971
[22]
서적
1986
[23]
서적
1962
[24]
서적
1986
[25]
서적
2008
[26]
서적
2008
[27]
서적
2008
[28]
서적
2008
[29]
서적
2008
[30]
서적
1986
[31]
소설
Journey to the West
[32]
논문
Subsequent writers of classical poetry lived under the shadow of their Tang predecessors
[33]
서적
1986
[34]
서적
The Distinctive Art of Chinese Fic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0
[35]
서적
Introduc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5
[36]
서적
Written on Water
Columbia University Press
[37]
서적
Reproductive realities in modern China : birth control and abortion, 1911-2021
Cambridge University Press
[38]
서적
Literary Trends: The Road to Revolution 1927–1949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
서적
Poetry, History, Memory: Wang Jingwei and China in Dark Times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40]
서적
Revolution and its narratives : China's socialist literary and cultural imaginaries (1949-1966)
Duke University Press
[41]
웹사이트
張曉風:我的父親母親
http://news.sina.com[...]
2008-03-12
[42]
서적
The unknown cultural revolution : life and change in a Chinese village
Monthly Review Press
[43]
서적
The Chinese Cultural Revolution: A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4]
서적
A Continuous Revolution: Making Sense of Cultural Revolution Culture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Harvard East Asian Monographs
[45]
서적
Running Through Beijing
http://twolinespress[...]
Two Lines Press
[46]
서적
Chinese contemporary literature – authors, works, trends – A snap-shot 2007/2008
[47]
서적
Chinese cultic literature 2008/2009 – authors, works, trends
[48]
웹사이트
IPA report says global publishing productivity is up, but growth is down
https://www.ingenta.[...]
2022-02-17
[49]
웹사이트
HCAA 2016 Winners
http://www.ibby.org/[...]
2016-11-22
[50]
간행물
100 greatest Chinese novels of the 20th century survey
Asia Weekly
[51]
웹사이트
Top Ten Internet Languages in the World – Internet Statistics
http://internetworld[...]
[52]
간행물
Chinese Popular Author Eyes Profits Online
http://www.accu.or.j[...]
APPREB
[53]
간행물
新媒体时代的博客传播与图书出版研究 Blogs and Book Publication in New Media Era
[54]
서적
Cambridge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55]
학술지
[56]
서적
From Woodblocks to the Internet: Chinese Publishing and Print Culture in Transition, circa 1800 to 2008
https://brill.com/vi[...]
BRILL
[57]
서적
Internet Literature in China
Columbia University Press
[58]
학술지
Author, Narrative and the Impact of Internet Literature Upon Print Literature in China
https://www.degruyte[...]
2024-11-06
[59]
학술지
Digital Globalization, Fan Culture and Transmedia Storytelling: The Rise of Web Fiction as a Burgeoning Literary Genre in China
https://www.tandfonl[...]
2023-07-04
[60]
학술지
Fandom and coercive empowerment: the commissioned production of Chinese online literature
https://journals.sag[...]
2016-09
[61]
서적
Machine Translation of Chinese Fantasy (Xianxia) Novels
https://doi.org/10.4[...]
Routledge
2024-12-03
[62]
학술지
A Bard is Born: A New Era of Poetry Translation by ChatGPT-4
https://www.tandfonl[...]
2024-09
[63]
학술지
Danmei , Xianqing, and the making of a queer online public sphere in China
https://journals.sag[...]
2016-06
[64]
웹사이트
Börsenblatt Online | NEWS | China wird 2009 Gastland der Frankfurter Buchmesse
http://www.boersenbl[...]
2008-07-17
[65]
웹사이트
Frankfurt Book Fair - China (People's Republic)
http://www.buchmesse[...]
2010-04-18
[66]
뉴스
Zeitung zur Buchmesse
https://www.faz.net/[...]
FAZ
2008-10-19
[67]
웹사이트
General Administration of Press and Publication
http://www.cecc.gov/[...]
CECC
2008-09-05
[68]
웹사이트
The Underground Publishing Industry in China
http://zonaeuropa.co[...]
ZoneEuropa
2008-09-05
[69]
웹사이트
Naughty China
https://www.amazon.c[...]
2008-09-05
[70]
뉴스
The Chinese Novel Finds New Life Online
https://www.wired.co[...]
Wired
2007-08-17
[71]
논문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Two volumes.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Volume I: To 1375.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Volume II: From 1375
2013-01-01
[72]
서적
Empire of Texts in Motion: Chinese, Korean, and Taiwanese Transculturations of Japanese Literatur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73]
서적
唐詩概説
岩波書店
[74]
서적
唐詩概説
岩波書店
[75]
서적
皇帝のいる文学史 中国文学概説
大阪大学出版会
[76]
서적
唐詩概説
岩波書店
[77]
서적
皇帝のいる文学史 中国文学概説
大阪大学出版会
[78]
서적
唐詩概説
岩波書店
[79]
서적
唐代の詩人-その伝記
大修館書店
[80]
웹사이트
中国語文学用語辞典
https://www.lang.osa[...]
大阪大学
2023-12-12
[81]
웹사이트
中国の「晩清小説」(「清末小説」とも言う)を日本語で読める本や作品はないか。
https://crd.ndl.go.j[...]
2023-12-12
[82]
서적
중국문화산책
학고방
[83]
서적
중국문화산책
학고방
[84]
간행물
중국의 문학〔개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